프로토콜 계층 구조

Network/Network Theory 2015. 12. 11. 18:06

<프로토콜 계층 구조>



1. 데이터링크 계층
데이터를 전송하는 케이블에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역할

2. 네트워크 계층
주소 관리, 포장, 라우팅(Routing)을 담당. IP(Internet Protocol)는 호스트들과 네트워크에서 주소를 관리하고, 패킷을 라우팅.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IP와 매칭되는 MAC Address를 얻는데 이용.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패킷 전송에 관한 에러 메세지를 처리하는데 이용된다. (ping)

3. 전송 계층
호스트들 간에 통신을 제공한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연결 지향(Connection-oriented)이며, 수신측으로부터 받았다는 확인 메시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는 신뢰성있는 전송이 가능하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는 패킷의 정확한 전달을 보장하지 않는다. 송수신의 책임은 상위의 Application이 가진다.

4. 응용 계층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도록 해 주는 역할

 

- 사용자 데이터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로 전달

- TCP는 몇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며 역시 자신에게 전달되어 온 PDU에 세그먼트(Segment)라고 불리는 헤더를 덧붙임

- TCP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되어 온 PDU를 데이터로 간주

- TCP가 자신이 구성한 세그먼트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

- IP도 데이터그램(Datagram)을 하위계층으로 전달

- 데이터링크 계층은 다시 헤더와 트레일러(Trailer)를 덧붙임

-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구성된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Frame)이라 부르며 물리 계층에 의해서 네트워크로 보내짐

 



'Network > Network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주소 프리픽스 표현방법, 주소 형태 3가지  (0) 2015.12.11
IP(Internet Protocol)  (0) 2015.12.11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0) 2015.12.11
DQDB(Distributed Queue Dual Bus)  (0) 2015.12.11
IEEE 802.11b IEEE802.11a  (0) 2015.12.11
posted by 경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