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Portfast란?>
포트가 활성화 되면 바로 전송상태가 되게하는 것을 말한다. Portfast는 PC와 서버 등과 같이 종단장치와 연결된 포트에 많이 설정한다.
<실습>
참고로 라우터를 L3스위치 처럼 사용하였다.
SW1을 Root브릿지로 설정하고, SW3의 f1/1이 Blocking이 되었다.
SW1)
SW2)
SW3)
이번에는 SW3의 종단장치인 PC부분쪽 인터페이스를 다운시켰다가 다시 살려보겠다.
debug명령으로 STP 진행상황을 지켜보겠다.
Portfast를 적용시키지 않아 시간이 오래걸렸다.
처음 블록킹이 되고나서 리스닝과 러닝 그리고 포워딩까지 총 30초가 소요되었다.
이번에는 portfast를 적용하고 나서 시간 경과를 살펴보자.
이처럼 portfast를 사용하면 listening, learning 단계를 건너뛰고 바로 forwarding상태가 된다.
'Network > Swit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Switch) - STP 조정/보호기술 Backbone Fast (0) | 2015.12.16 |
---|---|
스위치(Switch) - STP 조정/보호기술 UplinkFast (0) | 2015.12.16 |
스위치(Switch) - STP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0) | 2015.12.16 |
스위치(Switch) - VTP(Vlan Trunking Protocol) (0) | 2015.12.14 |
스위치(Switch) - MAC 주소와 IP 주소의 관계 (0) | 2015.12.14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