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모잘라 추가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컴퓨터에 하드디스크를 추가한 후 사용하려면 특정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하드디스크를 장착한다.
둘째, fdisk명령어로 파티션을 생성한다.
셋째, 파티션을 나눈 후,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 예) mkfs.ext4
넷째, mount를 사용하여 특정 디렉토리와 마운트한다.
1. 하드 디스크 장착하기
가상 프로그램이 아닌 리눅스를 실제 컴퓨터에 사용하시는 분들이면 그냥 하드디스크를 꽂아서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나같은 경우 VM ware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SCSI 0:1장치(/dev/sdb)에 하드 0.2GB짜리 하나를 장착해보자.
※ SCSI장치가 왜 /dev/sdb인 이유는 /dev 디렉토리안에 /sdb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인데, 읽는 순서는 sda, sdb, sdc, sdd,...이렇게 진행하고 나뉘어진 파티션이있다면 sda1,sda2,sdb1,sdc1 이런식으로... 즉 sda하드에는 파티션이 두개가 sdb하드에는 파티션이 한개가 나뉘어져 있는 것이다.
<실습>
순서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된다!
이름은 알기쉽게! 나중에 이름을 봤을때 어떤 하드인지 알기 쉽게! 작성하자
이렇게 되면 vm ware에서의 하드디스크 장착은 끝이났다.
2. fdisk를 이용해 파티션을 나누기
이번에는 하드디스크 장착을 했으니 파티션을 나눠보자.
<실습>
파티션은 한 개만 만들어보자.
먼저, 맨 처음에 n은 하드디스크 sdb의 새로운 파티션을 분할하겠다 라는 의미이다. 두번째 p는 primary partition을 선택한것이고, 세번째 1은 파티션 번호를 1번으로 하겠다라는 의미이다.
First 실린더는 시작 실린더 번호를 입력하는곳인데 그냥 엔터를 치면되고, 마지막 실린더 번호를 입력하라는 곳에서도 엔터를 치면 된다.
p는 지금까지 만든 파티션의 내용을 볼 수 있다. 밑에보면 sdb1이라고 방금 만든 파티션을 볼 수 있다.
3. mkfs명령어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하기
방금 파티션을 나눴다. 이제 포맷을 해야한다. 즉,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는 것인데, 방금 나눈 파티션에 저장을 어떤 파일시스템으로 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done 세개가 뜨면 잘 만들어진 것이다.
파일 시스템에는 종료가 여러개가 있다. 과거에는 ext2, ext3를 사용하였지만 최근 개발로 향상된 ext4를 사용하였다.
4. 마운트 시키자!
자, 이제 하드장착, 파티션 분할, 파일시스템 생성 모두 끝났다.
장착된 하드를 디렉토리에 마운트하여 사용하는 일만 남았다.
이제부터는 /data 디렉토리에 파일을 복사하거나 옮기면 /dev/sdb1 에 저장되는 것이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0) | 2016.02.15 |
---|---|
리눅스 - LVM (Logical Volume Manager) (0) | 2016.02.14 |
리눅스 - RPM, YUM (0) | 2016.02.12 |
리눅스 - 프로세스(process), 데몬(Standalone, Xinetd데몬) (0) | 2016.02.12 |
리눅스 - inode, 하드링크, 심볼릭링크 (0) | 2016.02.11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