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LVM이란?>
말 그대로 논리적 디스크 관리자이다. LVM은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한 개의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LVM은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합쳐줄뿐 아니라 합쳐진 것을 다시 사용자 맘대로 여러개로 나눌수 있다.
용어)
1. Physical Volume : /dev/sda1, /dev/sdb1...
2. Volume Group : Physical Volume을 합쳐 1개의 물리적 그룹을 만듬
3. Logical Volume : Volume Group을 나눠서 논리적 그룹으로 나눈다.(1개이상으로)
<실습>
이번에는 3개의 하드디스크를 장착한 후, LVM으로 마치 1개처럼 묶어보는 실습을 해보자.
준비과정은 /dev/sdc, /dev/sdd, /dev/sde 각각 100MB, 100MB, 200MB 하드를 만들어 묶어보자.
하드만드는 과정은 생략하겠다. 단, fdisk를 사용하여 파일시스템을 적용할 때 LVM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그 부분부터 보자!
하드디스크가 5개가 장착되어있다. 원래 기존에2개 + 방금 실습을 위해 장착한 3개
fdisk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만들어준다.
명령어 t는 파일시스템 유형을 선택할 때 사용한다.
8e는 Linux LVM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이다.
w는 설정 값들을 저장하는 명령어이다.
※위에는 /dev/sdc1만 만들었지만 /dev/sdd와 /dev/sde도 똑같이 만들어준다.
<LVM을 이용해보자>
1. pvcreate명령으로 물리적인 볼륨을 생성해보자.
각각 파티션에 물리볼륨을 만들었다.
2. 만들어진 물리 볼륨을 그룹을 만들어 하나로 합쳐보자.
명령어는 vgcreage [그룹몇] [각 장치들...]
3. 물리봄륨 그룹이 잘 만들어져있는지 확인해보자.
4. 볼륨 그룹의 파티션을 만들어보자.
하드디스크를 생성하고 파티션을 만들때는 fdisk를 사용했다. 하지만 지금 만들어놓은 볼륨 그룹에 대한 파티션을 생성할 때는 lvcreate명령어를 사용해야한다.
lvcreate -L 400MB -n myGroup1 myGroup
이 명령어의 해석은 우리가 만든 논리 그룹myGroup을 myGroup1이라는 논리 볼륨을 생성하되, 크기는 400MB로 하라는 의미이다. 즉, 이 의미를 하드디스크 fdisk를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면 파티션 1개만 만든 것과 같은 의미이다.
5. 만들어진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생성하자.
우리가 만들 파일시스템은 /dev/myGroup/myGroup1이다.
6. 마지막으로 마운트만 해주면 끝이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Quota(쿼터) (사용자별로 공간 할당하기) (0) | 2016.02.15 |
---|---|
리눅스 -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0) | 2016.02.15 |
리눅스 - 하드 디스크 추가하는 방법 (0) | 2016.02.13 |
리눅스 - RPM, YUM (0) | 2016.02.12 |
리눅스 - 프로세스(process), 데몬(Standalone, Xinetd데몬) (0) | 2016.02.12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