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 리스트>
나열한 원소들 간에 순서를 가지고 있는 리스트를 선형리스트(Linear List) 라 한다.
선형 리스트는 원소들 간의 논리적인 순서와 메모리에 저장하는 물리적인 순서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순차 자료구조라고 한다.
순차자료 구조는 시작 위치와 원소의 크기를 알면 특정 원소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선형 리스트의 예]
[리스트를 표현하는 방법]
리스트 이름 = (원소1, 원소2, ... 원소n)
※ 원소가 하나도 없는 리스트는 공백 리스트라 하고, 빈 괄호로 표현한다.
공백 리스트 이름 = ()
<선형 리스트의 삽입>
선형 리스트에 새로운 원소를 삽입하려면 먼저 삽일할 자리를 만든 후, 그 자리에 원소를 삽입해야 한다. 원소를 삽입할 자리를 만들려면 삽입할 위치 이후의 원소들을 한 자리씩 뒤로 옮겨야 한다.
빈자리를 매꾸기 위해 이동 횟수 : n(마지막 원소의 인덱스) - k(삭제한 원소의 인덱스)
위의 그림을 예로 들면 6-2=4이다. 즉, 4번 이동해야 함
Copyrightⓒ2014 By 한빛아카데미(주)
LIST
'Programming >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항식 순차 자료구조 표현 (0) | 2015.11.30 |
---|---|
2차원, 3차원 배열의 순차 표현 (0) | 2015.11.30 |
추상 자료형, 알고리즘 (0) | 2015.11.29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6단계 (0) | 2015.11.29 |
BCD코드, EBCDIC코드, ASCII코드 (0) | 2015.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