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e>


파일의 위치를 찾는 명령어이다.

방법) locate [옵션] [파일명]

[옵션]

-e : 검색했을 때 존재하는 파일만 출력한다.

-S : 모아놓은 DB의 통계를 출력한다

 

<실습>



실제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파일을 봤더니 존재하였다.



-S명령어로 생성된 DB의 정보를 확인한다.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man  (0) 2016.03.29
리눅스 명령어 - ls  (0) 2016.03.24
리눅스 명령어 - ln  (0) 2016.03.23
리눅스 명령어 - kill, killall  (0) 2016.03.22
리눅스 명령어 - ifconfig  (0) 2016.03.22

<ln>

파일 링크를 만드는 명령어이다.

파일을 실제 경로가 아니라 사용하기 편리한 다른 경로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정한다.

심볼릭 링크는 윈도우의 바로가기랑 거의 흡사하다. 원본 파일이 업데이트 되면 심볼릭 링크파일은 단순히 이어주는 파일이기 때문에 심볼릭 링크를 사용해도 업데이트 된 원본파일을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원본파일의 경로가 바뀌어 버리면 심볼릭 링크 파일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심볼릭링크 만드는법>

ln -s [원본파일경로명] [심볼릭링크 파일명]

<실습>

다음 실습은 /home/fedora/good/test.txt파일에 좀 더 간단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home/testlink.txt파일을 만든것이다.

testlink.txttest.txt파일의 내용을 갖고 있으며, 원본파일의 경로가 변경되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하드링크는 동일한 파일의 크기고 링크가 된 대상 파일의 내용이 변경된 경우에는 원본 파일도 동일하게 변경된다. 원본파일이 삭제되어도 하드 링크된 파일이 가지고 있어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드링크 만드는법>

ln [원본파일경로명] [하드링크 파일명]

<실습>

다음 실습은 /home/fedora/good/test.txt파일에 하드링크를 만들것이다. /home/testhard.txt로 만들겠다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ls  (0) 2016.03.24
리눅스 명령어 - locate  (0) 2016.03.24
리눅스 명령어 - kill, killall  (0) 2016.03.22
리눅스 명령어 - ifconfig  (0) 2016.03.22
리눅스 명령어 - halt  (0) 2016.03.21

<kill>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

방법) kill [옵션] [PID]

[옵션]

-s : 전달할 시그널의 종류를 지정한다. 이 옵션 다음에는 시그널의 이름과 번호를 지정해야 한다.

-l : 시그널로 사용할 수 있는 시그널 이름들을 보여준다. /usr/include/linux/signal.h 파일에서도 알 수 있다.

-1 : -HUP 프로세스를 재활성화한다.

-9 :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킨다.

 

)

kill 1203   // 1203번의 PID를 갖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kill -9 1203   // 1203번의 PID가 종료되지 않을경우 -9옵션을 사용하면 강제 종료된다.

kill -HUP 1203   // 1203번의 PID를 갖는 프로세스를 종료 시켰다가 다시 재실행 시킨다.

 

<실습>



<killall>

killall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이름으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방법) killall [옵션] [이름]

[옵션]

-g : 그룹을 지정하여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같은 프로세스 그룹에 속한 여러 프로세스가 발견되더라도 시그널은 그룹별로 한 번만 보내진다.

-i : 프로세스 종료 전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

-l : 알려진 모든 시그널 이름을 출력한다.

-v : 상세한 정보 출력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locate  (0) 2016.03.24
리눅스 명령어 - ln  (0) 2016.03.23
리눅스 명령어 - ifconfig  (0) 2016.03.22
리눅스 명령어 - halt  (0) 2016.03.21
리눅스 명령어 - groupadd, groupdel, groupmod, groups  (0) 2016.03.20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랜 카드와 네트워크 환경을 알아볼때 사용한다.

방법) ifconfig [인터페이스] 또는 ifconfig [인터페이스] [타입] [옵션]

[옵션]

-a : 모든 네트워크 정보를 볼 수 있음

up : 지정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down : 지정한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netmask addr : 넷마스크 설정

address : 인터페이스에 IP주소를 설정

 

<실습>

-a옵션으로 장착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를 알아보자.





 

 

네트워크를 비활성화 시킨 후, 다시 활성화 시켜보자.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ln  (0) 2016.03.23
리눅스 명령어 - kill, killall  (0) 2016.03.22
리눅스 명령어 - halt  (0) 2016.03.21
리눅스 명령어 - groupadd, groupdel, groupmod, groups  (0) 2016.03.20
리눅스 명령어 - gcc  (0) 2016.03.20

<halt>


/var/log/wtmp 파일에 시스템 종료 로그를 남기고 시스템을 종료하거나 재부팅한다.

방법) halt [옵션]

[옵션]

-d : wtmp파일에 로그를 남기지 않는다.

-f : 강제로 종료한다.

-n : 종료할 때 싱크를 하지 않는다.

-w : 종료는 하지 않고, /var/log/wtmp파일에 로그만 남긴다.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kill, killall  (0) 2016.03.22
리눅스 명령어 - ifconfig  (0) 2016.03.22
리눅스 명령어 - groupadd, groupdel, groupmod, groups  (0) 2016.03.20
리눅스 명령어 - gcc  (0) 2016.03.20
리눅스 명령어 - grep  (0) 2016.03.19

<groupadd>

새로운 그룹을 추가할 때 사용한다.

방법) groupadd [옵션] 그룹

[옵션]

-g : 지정한 gid로 그룹 ID를 생성

 

<실습 - 1>

groupadd로 그룹을 만들어보자.

그 후, 그룹이 생성되었는데 /etc/group을 확인해보자.





참고로 그룹을 만든것이지 사용자 계정을 만든것이 아니므로 /etc/passwd파일과는 무관하다.

<실습 - 2>

이번에는 groupadd -g옵션으로 gid를 지정해보자.

위에 실습에서는 gid를 따로 설정 해주지 않아서 bangid번호인 501 다음 순차적으로 +1을 더해 502bangid가 결정되었다.

 

 

<groupdel>

그룹을 삭제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방법) groupdel [삭제하고싶은 그룹명]

 

<실습>

위에서 만든 두 개의 그룹을 groupdel 명령어로 삭제해보자.




<groupmod>


그룹 정보를 수정할 때 사용한다.

방법) groupmod [옵션] [그룹명]

[옵션]

-g : 지정한 gid로 변경한다.

-n : 지정한 이름으로 그룹명을 변경한다.

 

<실습>

user1의 계정을 -g 옵션을 사용해서 gid를 변경해보자.

 

user2의 계정을 -n 옵션을 사용해서 이름을 poweruser로 변경해보자.

 

 

<groups>

그룹을 보고 싶을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방법) groups [사용자]

 

<실습>

fedora 사용자가 어떤 그룹에 속해있는지 알아보자.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ifconfig  (0) 2016.03.22
리눅스 명령어 - halt  (0) 2016.03.21
리눅스 명령어 - gcc  (0) 2016.03.20
리눅스 명령어 - grep  (0) 2016.03.19
리눅스 명령어 - fsck  (0) 2016.03.18

<gcc>


컴파일 해주는 명령어이다.

gcc는 원래 GNU C compiler의 줄임말이었는데 1999년도에 GNU Compiler Collection으로 변경되면서 CC++, 포트란, 자바 등이 포함되었다.

visual C++이나 이클립스와 같이 컴파일 할때 유용한 프로그램들도 있지만, 이렇게 명령어 하나로 컴파일 할 수도 있다.

 

방법)

gcc [옵션] [파일명]

[옵션]

-c : 링크를 실행하지 않고, 컴파일와 어셈블리만 수행한다.

-o : 처음부터 끝까지 컴파일, 어셈블리, 링크를 수행 후, 실행파일을 만든다.

-v : gcc의 버전정보를 알 수 있다.

 

<실습>

gcc -o명령어를 사용해 test.exe파일을 생성했다.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halt  (0) 2016.03.21
리눅스 명령어 - groupadd, groupdel, groupmod, groups  (0) 2016.03.20
리눅스 명령어 - grep  (0) 2016.03.19
리눅스 명령어 - fsck  (0) 2016.03.18
리눅스 명령어 - find  (0) 2016.03.18

<grep>


파일 내에 있는 특정 문자열을 검색한다.

방법) grep [옵션] [패턴(찾고싶은 문자열)] [파일명]

[옵션]

-n : 일치하는 줄의 내용와 해당 줄의 위치를 출력한다.

-w : 지정한 패턴과 일치한 결과만 출력한다.(비슷한것안됨)

-i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출력한다.

-c : 일치하는 줄의 수를 출력

-v : 지정한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내용을 출력

-r : 디렉터리의 하위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읽는다.

-l : 일치하는 줄의 파일명만 출력하고 내용은 출력하지 않는다.

 

<실습>

a.txt의 파일을 이용하여 grep을 실습해보자.



 

<실습 - 1>

-c옵션을 이용해서 "good"이 들어간 부분의 줄을 출력한다. 





 

<실습 - 2>

-n옵션을 이용해서 "good"내용이 있는 부분의 줄과 내용을 출력한다.


 



<실습 - 3>

-v옵션을 이용해서 "wow"가 들어가지 않은 부분의 내용을 모두 출력한다.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groupadd, groupdel, groupmod, groups  (0) 2016.03.20
리눅스 명령어 - gcc  (0) 2016.03.20
리눅스 명령어 - fsck  (0) 2016.03.18
리눅스 명령어 - find  (0) 2016.03.18
리눅스 명령어 - diff  (0) 2016.03.17

<fsck>

파일시스템을 점검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이다.

방법) fscs [옵션] [디바이스]

[옵션]

-A : /etc/fstab에 등록된 내용을 참고하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파일시스템에 대해 검사를 수행

-V : 자세한 정보를 출력

-f : 파일시스템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면 검사하지 않지만, 이 옵션은 무조건 검사하게 함.

-y : 파일시스템에 문제가 있으면 자동으로 수정

-n : 파일시스템에 어떤 문제가 있으면 문제점을 수정하지는 않고, 출력만 한다.

-t [파일시스템] : 체크할 파일시스템의 타입을 지정한다.

fsck.ext2 : ext2파일시스템 점검. fsck -t ext2와 같은 명령어임


<실습>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gcc  (0) 2016.03.20
리눅스 명령어 - grep  (0) 2016.03.19
리눅스 명령어 - find  (0) 2016.03.18
리눅스 명령어 - diff  (0) 2016.03.17
리눅스 명령어 - crontab  (0) 2016.03.16

<find>


파일 찾는 명령어 

방법) find [경로] [옵션] [파일명]


[옵션]

-name [파일명] : 지정된 이름의 파일을 찾는다

-user [파일명] : user 소유의 파일을 찾는다.

-type [옵션] : 지정된 형식의 파일을 찾는다.

b : 블록파일

c : 문자

d : 디렉토리

f : 파일

l : 링크파일

s : 소켓

-inum number : 지정한 아이노드 번호와 파일을 찾는다

-print : 검색된 파일명을 출력

-exec : command {}\; : 찾은 각 파일에 대해 지정된 명령을 실행한다.

ex)

find /root -name  test.txt   // /root에서 test.txt라는 이름을 갖는 파일을 찾아라

find . -print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명 나열

find . -type d -print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중 디렉토리만 나열

find . -name "* *" -exec rm -f {} \;   // 현재 디렉토리에서 파일 이름에 공백 문자가 들어간 모든 파일 삭제

find /usr/local -name *.jpg -o -name *.gif   // /usr/local에서 확장자 jpg 또는 gif를 가진 파일을 검색. (-oor, -aand)

find /usr -size +50K -exec ls -a {} \;   // /usr에서 크기가 50KB이상인 파일을 찾아서 ls -a를 수행.

find / -perm +4000 -print   // 루트 디렉토리 이하 모든 파일을 읽어서 퍼미션이 4000이상인 파일을 찾아서 출력

 

LIST

'OS > Linux Comm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명령어 - grep  (0) 2016.03.19
리눅스 명령어 - fsck  (0) 2016.03.18
리눅스 명령어 - diff  (0) 2016.03.17
리눅스 명령어 - crontab  (0) 2016.03.16
리눅스 명령어 - df  (0) 2016.03.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