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ocol>

다른 시스템과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규약이다.

서로 다른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언어로 통신을 하겠다" 라는 약속이 필요한데, 이러한 약속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HTTP>

웹에서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HTML>

웹에서 사용되는 문서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언어이다.

하이퍼링크와 멀티미디어를 표현할 수 있는 언어이다.

SGML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언어로써 태그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기술한다.

 

<HTML의 한계>

정적인(Static) 웹 페이지만을 제공한다.

이미 만들어져 있는 웹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하는 형태이다.

- 고정된 웹 페이지의 제공만이 가능하다







[해결책]

- 동적 웹 페이지(Dynamic Web Page)

프로그래밍을 이용함으로써 요청이 들어 왔을 때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서비스를 제공

- CGI(Common Gateway Interface)  모델

동적인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언어를 CGI 모델이라고 한다.

 

 

 

Copyrightⓒ2014 By Jabook

LIST

'Web Programming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의 .jsp, .web.xml파일 저장 경로  (0) 2016.03.06
Servlet이란?  (0) 2016.03.06
CGI(Common Gateway Interface)  (0) 2016.03.05

<Internet>

-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한 것. 서로 다른 지역에 있는 서로 다른 LAN들을 연결한 것

- 초기엔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예로 인공위성이 있다.

​소련과 미국 중 소련이 먼저 개발하여 데이터를 공유하였다.

- 좁은 망들을 연결하는 물리적인 개념(Hardware적 개념)

 

LAN(Local Area Network) - 특정 지역에 국한된 네트워크

 

Web - 인터넷에서 작동하는 서비스(그 외의 서비스는 ftp, mail 등이 존재한다.)

 

※ Internet과 Web의 차이점

Internet은 물리적인 개념으로 서로 다른 지역의 LAN들을 연결한 것을 의미하고, Web은 소프트웨어 적인 개념으로 인터넷 안에서 작동하는 하나의 서비스이다.

 

※ Web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

- Hyper link처럼 다양한 곳으로 이동 하는 것을 다른 말로 Navigation한다. 라고 하는데, Hyper link라 가장 큰 특징이다.

 

Hyper Text - Hyper link를 가진 문서

 

Hyper Text Markup Language

- Hyper Text를 만드는 언어, 구성하는 언어 -> HTML

 

.html와 .htm

- 웹 브라우저에서 보는 모든 파일의 확장자

 

html과 htm의 차이점

도스를 쓰던 시절에 확장자가 3자리 제한이였을 당시 HTML을 줄여 썻던게 .htm이다. 현재 윈도에 접어 들고 확장자 제한이 없어지면서 .html을 쓰고 있다.

일반적인 입장에선 아무거나 사용해도 무관하나 개발자의 입장에선 직관적으로 한글자 적기도 하고 문서로딩이 빠른 .htm을 주로 이용한다. 동작하는 데는 두 가지가 차이가 없다.

 

Netscape Navigator - 1994년에 발표, 넷 스케이프가 나오기 전까지는 인터넷을 잘 사용하지 않았다. 그저 사람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기술이었다. 지금 사용하는 Internet Explorer 이전에 전 세계의 웹 브라우저가 넷 스케이프로 시작을 하였다.

 

Internet Explorer

- MS에서 넷 스케이프의 독점을 막기 위한? 웹 브라우저를 만든다. 현재 90%이상의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다.

- 95년부터 시작

- 윈도우에 강제로 Internet Explorer를 탑재시킨다. 왜? 처음에 사람들이 넷 스케이프만 사용하고 있고, Internet Explorer를 잘 사용하지 않아서...

- 맥킨토시를 본따서 만든 windows 95를 설치할 때, 많은 사용자들이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함. 우리나라에서도 실제로 window 95가 도입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 여담이지만 현재 우리가 C로 코딩을 할 때, Visual C를 대부분 사용자들이 사용할 것이다. Visual Studio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Visual C인데, 사람들이 초기에는 볼랜드 C를 사용했다. 그런데 MS에서 자신들이 만든 Visual C를 사용하게 하기 위해 이미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윈도우에 볼랜드 C를 작동되지 않게 만들어버린다. 그러므로 Visual C를 사람들이 사용하게끔 만들었음.. 경영 전략이겠지만 뭔가 치사하다...

Visual Basic도 처음에 MS것이 아니었음. 회사를 통째로 인수해 버린다. Power Point 등도 마찬가지

대단한 MS...!

 

Internet Explorer의 버전 업

- MS는 Window와 Internet Explorer를 IT시장에서 엄청난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었다. 1등을 하고있어서 그런가... 관리를 소홀하게 하다가 버전 업을 안하니까 Plug-in을 설치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러다 보니 Client의 PC들은 설치할 것들이 많아 지고 점점 무거워진다.

그래서 치고 나온 것이 구글 크롬, 애플 사파리 등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2007년부터...)

2007년...? 이 시기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시작하던 때 였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은 PC보다 스마트폰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고, PC에서 사용하던 Internet Explorer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IT시장에서는 이것을 MS의 독점을 뒤집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 중 갤럭시 시리즈는 구글 크롬(브라우저같은 경우엔 Plug-in(액티브X, Flash)를 설치하라고 하는데 크롬은 그렇지 않음.)의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다.

위기를 느낀 MS는 최근에 갑자기 버전업을 많이 함. 과거에 버전업을 10년에 2~3밖에 안하던 MS가 불과 2년사이에 3번의 버전업을 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LIST

'Web Programming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 모듈  (0) 2016.04.07
Web? Web Server? Web Client? Web Browser?  (1) 2016.03.04
웹 동작원리와 URL 구성요소  (0) 2016.02.04

<웹 동작원리>

Client

- 웹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에게 있음. 서비스를 받는 것

Server

- 서비스 해주는 것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 자원의 위치를 단일화 된(공통된) 방법으로 알려주겠다.

4개의 구성요소 : Protocol://Server Address : Port Number : File-path

1. Protocol : 통신 규약, 서로 통신을 위한 공통된 약속(규약)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

- 보안 X 

https://

- 보안 O secure - 전송될 때 암호화 됨.

 

2. Server Address

www.naver.com

- IP(Internet Protocol) 주소

IP주소로 얼마까지 커버가능 한가?, A, B, C, D클래스, 4Byte

 

DNS(Domain Name Server)

 

디폴트 파일 index.html

- Port Number와 File-Path를 설정하지 않고, 주소만 입력할 때 index.html가 출력, 이것은 디폴트 파일이다.

 

3. Port Number

- 한 컴퓨터에서 실제로는 IP주소로 하나의 연결이 되어 있지만, 여러 개의 커넥션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논리적인 단위

- 웹 브라우저를 쓰면 80번 포트 번호 사용(http port)

- 데이터 베이스는 3306 포트 번호 사용

- 웹 서버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포트번호는 80번 이기 때문에 생략 가능



LIST

'Web Programming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 모듈  (0) 2016.04.07
Web? Web Server? Web Client? Web Browser?  (1) 2016.03.04
Internet? web? 그리고 History...  (0) 2016.03.03

+ Recent posts